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말씀묵상/느헤미야13

(느헤미야 강해 5) 느헤미야 3장 1-3, 20-23절 함께 하는 사역의 원리 느헤미야 3장 1-3, 20-23절 함께 하는 사역의 원리 느헤미야에게서 배우는 함께 하는 사역의 원리들은 무엇입니까? 1.협동의 원리입니다. 느헤미야는 자기 홀로 이 사역을 실현할수 있다고 생각치 않은 것입니다. 그는 협동의 원리를 중시한 리더였습니다. 우리가 느헤미야 3장을 읽어보면 무려 75명이상의 사람들의 이름이 기록되고 있습니다. 왜 느헤미야는 이런 여러 사람들의 이름을 여기서 열거할 필요가 있었을까요? 느헤미야 혼자 이 사역을 감당한 것이 아니라 그들이 함께 했다는 것을 강조하고자 한 것이 아닙니까? 본문 1절을 읽어보십시오."때에 대 제사장 엘리아삽이 그 형제 제사장들과 함께 일어나-- "여기서 강조된 말은 '함께'라는 단어입니다. 그리고 이어서 어떤 단어가 두드러지게 느헤미야의 리더십을 설.. 2022. 3. 15.
(느헤미야 강해 4) 느헤미야 2장 7-10, 17-20절 장애물 뛰어넘기 느헤미야 2장 7-10, 17-20절 장애물 뛰어넘기 장애물없이 인생을 살아갈 수가 없습니다. 성도의 삶도 예외일수가 없습니다. 오늘의 본문은 하나님의 사람 느헤미야가 예루살렘 성 재건에 착수하자마자 만나는 장애물 체험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는 마침내 이 장애물을 뛰어넘습니다. 그리고 자신의 사명을 완수합니다. 우리의 현실에서 우리가 부딪혀 있는 장애물을 뛰어넘기 위해 본문에서 배워야 할 교훈은 무엇입니까? 1.하나님이 허락하신 일에도 장애가 있다는 것입니다. 느헤미야는 기도하며 예루살렘성의 재건을 계획하면서 가능한 모든 장애물을 미리 가정해 보았고 그 장애물들을 통과할 준비를 서둘렀습니다. 그가 아닥사스다왕에게 예루살렘 성의 재건작업의 허락을 받아내면서 그가 예루살렘 성에 도착하기까지의 통과증.. 2022. 3. 15.
(느헤미야 강해 3) 느헤미야 2장 1-6절 내일을 잉태하라 느헤미야 2장 1-6절 내일을 잉태하라 오늘의 본문에서 느헤미야는 조국과 조국의 백성들에게 안정되고 가치있는 내일을 선물하고 싶어했습니다. 그는 그 일을 우선 기도로 시작했습니다. 그러나 그가 기도를 시작했다고 해서 당장 그의 조국에 어떤 변화가 나타났던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그는 포기하지 않고 계속 기도하고 있었습니다. 포기하지 않은 유일한 이유는 내일을 잉태하기 위해서 였습니다. 그러면 그가 내일을 잉태하기 위해 기도하며 해야만 했었던 일은 무엇이었을까요? 1. 기도하며 기다려야 합니다. 기도한다는 것은 희망을 품고 기다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우리가 희망을 버린다면 더 이상 기도하지 않을 것입니다. 느헤미야가 조국을 위해 기도를 시작하여 마침내 조국에 돌아가 예루살렘 성을 재건하는 프로젝트에 착수하.. 2022. 3. 15.
(느헤미야 강해 2) 느헤미야 1장 6-11절 응답 받는 기도 느헤미야 1장 6-11절 응답받는 기도 페르샤의 아닥사스다 왕 1세는 무엇보다 이스라엘 재건에 부정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었던 왕이었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느헤미야의 기도를 응답하시기 위해 예루살렘 성 재건에 가장 부정적인 왕을 기도응답의 도구로 쓰셨습니다. 우리는 최악의 상황에서도 아직도 최선의 기도응답을 기대할수 있다는 것을 믿어야 합니다. 그렇다면 응답받는 기도-어떻게 드려야 할까요? 1.기도의 장애가 옮겨져야 합니다. 기도응답을 방해하는 여러 가지 장애가 있을수 있습니다. 그러나 가장 강력한 장애는 기도하는 사람들 자신의 죄 문제라고 할수 있습니다. 혹은 기도 대상자의 삶속에 있는 죄문제들입니다. 이사야59:1-2 "여호와의 손이 짧아 구원치 못하심도 아니요 귀가 둔하여 듣지 못하심도 아니라 오직.. 2022. 3. 15.
반응형
LIST